POLYMERS Vol.62 No.4
>> Chinese >> English >> Japanese >> Korean
특집
새로운 시대의 조명기구에 응용하기 위한 고분자
전망
조명용 백색 유기 EL 기기의 개발 동향 사사베 히사히로, 기도 쥰지
<Abstract> 1993년에 세계 최초로 개발된 백색 유기 EL 기기는 당초 전력효율 1 lm W-1, 수명 1일에도 못 미치는 여름 밤하늘의 반딧불과 같은 실용성이 없는 광원이었다.1) 백색 유기 EL 기기의 탄생 이후 20년이 지난 지금, 백색 유기 EL 기기는 그 성능이 크게 향상되어, 일반 조명으로써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새로운 시대의 조명으로써 기대되는 백색 유기 EL 기기의 최신 개발 동향을 소개한다.
Keywords: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 General Lighting / High-Performance / Phosphorescent Materials / Low Driving Voltage / Multiphoton Emission Device / Charge Generation Layer / Molecular Orientation
Top of the Page▲
조명 아트 엔터테인먼트
꿈과 감동을 연출하는 빛의 디자인
– Lighting Object 2012의 조명을 통해 -
니키 루나 요코
<Abstract> 대부분의 일본인은 보름달에 대한 기억을 저마다 가지고 있다. 필자는 조명과 공간을 디자인할 때 중요한 요소인 조명과 조형을 이용하여 달의 "전환"과 관련된 이미지를 연출하려고 한다.
Top of the Page▲
토픽
유기 EL 조명의 현재 상황과 향후의 전망 – 인광 유기 EL 조명의 개발 - 이와사키 도시히코
<Abstract> 코니카 미놀타의 연구 개발을 바탕으로 한 OLED 조명과 관련된 최신 연구결과와 향후의 전망을 소개한다. 본 연구진은 백색 OLED 조명을 제작하기 위해 독자적으로 개발한 청색 인광 기술을 바탕으로 진공 열증착 가공 및 용액 가공의 두 가지 접근 방식을 이용하였다. 2011년 세계 최초로 인광으로만 이루어진 OLED 조명 패널이 시장에 출시되었으며, 특히 효율성 측면에서 뛰어난 성능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어 차세대 조명 재료로써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본 연구진은 2010년에 롤-투-롤 R&D 라인으로 제조된 독특한 OLED 조명을 구현함으로써, 용액 가공 방식을 이용한 OLED 기술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용액 가공 공정을 이용한 OLED는 높은 생산성과 대규모 제조의 가능성 등의 잠재력을 갖고 있지만, 지금까지 용액 가공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된 기기의 성능이 진공 방식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 떨어진다고 믿어져 왔다. 본 원고에서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청색 인광 재료를 이용하여 진공 가공과정을 통해 개발한 최신 OLED의 성능과 용액 가공 방식을 이용한 OLED의 개발과 관련된 내용을 소개한다.
Keywords: Organic Lighing Emitting Diode / White OLED Lighting / Phosphorescent Material / Vaccum Thermal Evaporation / Solution Process / Roll-to-Roll Process
Top of the Page▲
고열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 재료 이노 겐이치로
<Abstract> 고분자 재료는 금속 재료와 세라믹보다 낮은 열전도성을 나타내므로 단열재로써 사용된다. 고분자 재료는 우수한 사출 성형성을 갖기 때문에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전자 기기에는 효율성이 높은 반도체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반도체의 소형화 및 높은 집적률은 전자 기기 다량의 열을 발생하게 하여,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전자 기기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냉각 시스템이 필요하다. 실험 결과를 통해서, 방열핀 사이의 간격은 6 mm가 이상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열전도성 폴리 카보네이트 복합재료는 4.0-11.0 W/m•K의 열전도성을 나타낸다. 열전도는 25 mm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일어나므로, 방열핀의 높이는 25 mm가 적당하다. 방열핀의 두께는 약 3 mm가 적당하며, LED 모듈 측면의 기본 캐스트의 두께는 사출성형성과 방열 경로를 고려할 때 약 5 mm가 바람직하다.
Keywords: Thermally / Conductive / Polycarbonate / Composite / Radiate / LED / Moldability
Top of the Page▲
LED 리플렉터용 내열성 폴리아미드 수지 다무라 고조
<Abstract> Genestar™는 PA9T를 이용한 열저항성 폴리아미드로써, 뛰어난 성형성으로 LED 패키지의 리플렉터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진은 열과 빛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갖는 Genestar™ 및 이와 관련된 새로운 고분자가 조명 기기의 표준 광원으로서 LED가 보급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 LED Reflector / Polyamide / Heat Resistance / Light Resistance
Top of the Page▲
LED 조명용 광확산 폴리카보네이트 나카니시 에지
<Abstract> Sumika Styron Polycarbonate는LED 조명 분야에 이용하기 위한 뛰어난 광투과성 및 광확산성을 갖는 SD POLYCA™ LD2050 시리즈를 개발해왔다.
Keywords: LED Lighting / Light Diffusion / Polycarbonate
Top of the Page▲
광산란 전도성 고분자와 LED 집광 렌즈 시노하라 요시노리
<Abstract> 본 원고에서는 광산란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빛의 분산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LED 집광렌즈와 LED 하향 조명과 관련된 LED 집광렌즈의 응용을 소개한다.
Keywords: Polymer Lens
Top of the Page▲
성장하는 고분자
초보적인 아이디어를 통한 성장 Taka-Aki ASOH
<Abstract> 좋은 아이디어를 생각해내는 것이 연구자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다. “나의 아이디어는 어디가 부족한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서 초보적인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Top of the Page▲
고분자과학의 최전선
풀과 나무로부터 생산하는 고분자의 원료 Michikazu HARA
<Abstract> 화학 산업의 새로운 경향은 셀룰로스를 포함하는 바이오매스로부터 고분자 및 새로운 물질과 같은 유용한 화합물을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최소한 다음의 두 가지 화학 공정이 필요하다. 첫째는 셀룰로스 포함하는 바이오매스를 가수분해하여 단당류를 얻는 과정이고, 둘째는 얻어진 단당류를 유용한 화합물로 변환시키는 과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두 과정은 생각만큼 쉽지 않다. 본 원고에서는 새로운 불균일 촉매를 이용하여 셀룰로스를 포함하는 바이오매스를 헤테로 환형 알데하이드로 효율적으로 변환시키는 방법을 소개한다.
Keywords: Cellulosic Biomass / Monosaccharide / Hydrolysis / Heterocyclic Aldehyde / Heterogeneous Catalysts
Top of th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