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자 Vol.58 No.11 |
>> Japanese | >> English | >> Chinese |
특집
원소와 고분자 |
유기 고분자는 일반적으로 탄소와 수소 그리고 일부의 한정된 헤테로 원자로 구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반하여, 다채로운 원소의
특징에 주목하여 이를 분자구조에 접목함으로써, 원소의 특징을 살리면서 동시에 혁신적인 성능 및 기능을 갖는 고분자의 합성이 가능해졌다.
이와 같은 고분자는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이 활발하게 전개되어왔다. 본 특집에서는 전형금속, 전이금속 등의 다양한 원소를 고분자에
접목하여 새로운 고분자의 합성 및 응용에 도전하는 연구를 소개한다.
(토미타, 우에노, 우츠노미야, 코노, 타케우치, 타케자와)
|
특집에 부쳐 |
무기원소의 특성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고분자 | 츄조 요시키 |
785
|
최신 연구결과 |
788
|
성장하는 고분자 |
천연물 합성에서 연성재료 연구로의 전환 | 코야마 야스히토 |
791 |
연구 주제와의 마주침 | 사카이 노부지 |
792 |
전망 |
인 원자를 포함하는 기능성 재료의 구축 | 산지 타카노부, 타나카 마사토 |
793
|
금속 착화합물의 독특한 광물성과 OLED에의 응용 | 아다치 치하야, 엔도 아야타카 |
797
|
올리고 싸이오펜 화합물의 전자공학에의 응용 | 아소 요시오 |
801
|
총천연색 발광성 실리콘 고분자 | 후지키 미치야 |
805
|
고분자 용어 |
809
|
토픽 |
광경화반응에 이용 가능한 황 함유 기능재료 | 무로후시 카츠미 |
810
|
보라진 고분자 재료의 개발 | 우치무라 유코 |
812
|
폴리포스파젠에 기반한 기능재료 | 이노우에 켄조 |
814
|
실세스퀴옥세인 및 실리콘 수지 | 이토 마키 |
816
|
유기 붕소계 전해질의 이온공학의 신전개 | 마츠미 노리요시 |
818
|
MRI조영기능을 갖는 가돌리늄 배위 고분자 | 쿠리타 토모카 |
820
|
고분자과학의 최신 진보 |
주사슬이 관여하는 반응성 고분자 | 토미타 이쿠요시 |
821
|
공지 사항 |
829
|
Top of the Page▲ |
Copyright(C) 2009 The Society of Polymer Science, Japan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