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자 Vol.59 No.11 |
>> Chinese | >> English | >> Japanese | >> Korean |
특집
범용 고분자의 최전선 |
성장하는 고분자 |
‘KNOW WHY’를 통해서 | 고바시 카즈후미 |
<Abstract> 여러분은 자신만의 연구 철학을 가지고 계십니까?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연구와 관련하여 다양한 사고를 합니다. 특히 자신의 연구에 대해서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는 과정에서 과학적으로 중요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바로 이 점이 제가 연구자로서 가장 소중히 여기는 덕목입니다. |
Top of the Page▲ |
좋은 만남으로 축복받은 연구인생 | 마츠다 타카아키 |
<Abstract> 본 원고에서는 연구인생을 통해 필자에게 소중한 경험들을 제공해주신 고마우신 분들과 그분들과 함께한 연구에 대해서 소개한다. |
Top of the Page▲ |
전망 |
범용 고분자의 광학재료로서의 전개 | 사이토 히로무, 사노 츠쿠루 |
<Abstract>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범용 고분자는 성형가공에 의한 형상 부여, 배향, 블렌드 및 콤포지트, 공중합체화 과정을 통해 우수한 광학재료로 이용될 수 있다. 본 원고에서는 범용 고분자의 굴절률, 복굴절, 광산란, 광반사의 제어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한 예를 소개한다. |
Top of the Page▲ |
폴리올레핀의 이용 확대와 고기능화를 가능하게 한 표면개질 | 가나자와 히토시 |
<Abstract>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대표되는 폴리올레핀은 가볍고, 비용이 적게 들며, 고강도를 나타내므로 전 세계적으로 대량 소비되고 있다. 그러나 비극성이며 내약품성이 있어 재료의 성질을 변형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본 원고에서는 일반적인 폴리올레핀의 표면개질 기술과 필자가 특허를 가지고 있는 “활성화 처리와 단량체 또는 고분자 처리”와 같은 조합적인 표면개질 기술을 소개하고, 실제로 표면개질 기술로 처리된 시료를 처리 전과 비교해 보았다. 본 원고에서 소개되는 표면개질 기술은 가공이 어려운 다른 고분자에도 적용할 수 있다. |
Top of the Page▲ |
차세대 범용성 폴리올레핀을 위한 촉매기술 | 다니이케 토시아키, 데라노 미노루 |
<Abstract>차세대 범용성 폴리올레핀의 개발은 촉매기술의 발전 없이는 달성할 수 없다. 본 원고에서는 향후의 촉매개발에서 중요시되는 기초연구와 관련된 최근의 연구성과를 소개한다. |
Top of the Page▲ |
범용성 폴리올레핀의 입체 규칙성 제어에 의한 고기능화 | 다카베 토모아키, 미나미 유타카 |
<Abstract>최근 폴리올레핀은 금속, 종이, 목재 등의 기존의 재료의 대체재로서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이로 말미암아, 용도에 맞는 성능을 가진 고기능성 폴리올레핀의 필요성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이와 같은 고기능성 폴리올레핀의 제조 과정에서 메탈로센 촉매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한 폴리올레핀의 입체 규칙성 제어에 관한 연구결과를 소개한다. |
Top of the Page▲ |
토픽 |
반응동반 가공공정(Reactive Processing)에 의한 범용 고분자의 기능화 | 기타 야스오 |
<Abstract>반응동반 가공공정 또는 반응성 고분자 공정은 화학반응을 통해서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는 고분자를 제조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원고에서는 범용 고분자의 기능화와 관련된 반응동반 가공공정에 대해서 소개한다. |
Top of the Page▲ |
메타크릴계열 고분자의 일차구조 정밀제어 | 노도노 미츠후미, 노다 테츠야 |
<Abstract>측사, 입체규칙도, 주사슬 구조, 단절된 블록 구조, 사슬의 말단기 등의 정밀제어를 통해서 고분자의 기능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원고에서는 단량체의 설계를 통한 폴리메타크릴레이트의 일차구조 제어 및 성능 향상을 위해서 금속촉매를 이용한 고분자합성과 관련된 최신 연구결과를 소개한다. |
Top of the Page▲ |
비할로겐 난연성 올레핀 계열의 수지 "OLEFISTA®" | 요시토메 마사키 |
<Abstract>오늘날 전선 및 케이블의 절연 재료로써 이용되고 있는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올레핀 화합물은 UL94V 시험법 및 산소지수를 통해서 화합물의 난연성이 평가된다. 본 원고에서는 난연성의 정량적인 평가를 위해서 필자의 연구진이 연구하고 있는 콘 열량계(cone calorimeter)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한다. |
Top of the Page▲ |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의한 자동차 관련 글레이징 기술의 개발 | 호타카 토시아키 |
<Abstract>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자동차의 경량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재료개발 및 제조기술개발을 포함한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테진(Teijin) 화학은 “TEIJIN solution support system”을 통해서 고객이 필요로 하는 응용 개발에 이르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
Top of the Page▲ |
새로운 페놀 수지로 만드는 미래재료 | 코니시 겐이치 |
<Abstract>본 원고에서는 포름알데히드와 페놀 유도체의 부가중합으로 합성된 새로운 페놀 수지에 대해서 소개한다. 페놀의 하이드록시기를 보호한 결과, 고분자 합성과정 및 얻어진 알콕시화 노블락(novolac)에서 독특한 현상이 관찰되었다. |
Top of the Page▲ |
고분자과학의 최전선 |
바이오실리카에서 배우는 계층구조 재료 | 진 련화 |
<Abstract> 실리카 바이오미네랄화는 규조류 및 해면류와 같이 나노 및 마이크로 수준에서 정밀하게 제어된 다양한 구조체를 만들어내는 생명체에서 관찰된다. 자연에서 발견되는 바이오실리카화는 화학자나 재료과학자들이 바이오실리카를 인공적으로 재현하는 데 있어서 많은 영감을 제공하였다. 바이오실리카화에 있어서 중요한 이슈의 하나로 실라핀(폴리펩타이드), 실리카테인(단백질), 그리고 긴 사슬형의 폴리아민과 같이 실리카 껍질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유기물질의 역할을 들 수 있다. 지금까지 바이오실리카화 과정의 이해 및 실리카를 이용한 나노재료의 개발을 위하여 실리카 퇴적체에 염기성 유기화합물 및 폴리아민 등을 퇴적기반으로 이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이를 통해 바이오실리카화 과정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다. 그 예로 실리카화에서 이용된 염기성 유기화합물 기반은 실리카의 집적을 위한 좋은 촉매 역할을 하며 동시에 특정한 형태를 유발하는 주형으로써 작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선형 폴리에틸렌이민으로부터 자기조직화 된 결정성 집합체는 나노 실리카 박막과 복잡한 구조를 갖는 나노 구조체의 주형 및 촉매 또는 지지체로써 유용하다는 점이 알려졌다. |
Top of the Page▲ |
Copyright(C) 2010 The Society of Polymer Science, Japan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