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자 Vol.59 No.3 |
>> Japanese | >> English | >> Chinese |
특집
가공기술이 연출하는 고분자재료 |
고분자 산업은 현재 인류가 향유하고 있는 풍요로운 물질문명의 구축에 지대한 공헌을 해 왔으며, 그 결과 현재 고분자재료는 우리들의
생활 속 곳곳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고분자 산업의 시작과 동시에 탄생한 성형가공기술은, 지금까지 공학적 요소기술로써 고분자
산업의 발전을 지탱해왔다. 현재 인류는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시대를 전망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을 열망하고 있으며, 고분자
산업 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새로운 시대와 사회의 잠재적인 요구에 부응하는 고분자재료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합성기술과 같은 재료의
제조기술과 관련된 학문의 발전 및 가공기술의 고도화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특집에서는 고분자 가공기술의 가능성에
대해서 전망해 보았다.
(Editors: 사쿠라이, 이토, 홋타, 미야타)
|
특집에 부쳐 |
고분자 가공기술에 대한 전망 | 키쿠타니 타케시 |
129
|
최신 연구결과 |
132
|
성장하는 고분자 |
덴드리머 + 바이오 + α → 차세대 생체재료 | 코지마 치에 |
135 |
나선(Helix) 매니아 | 사카지리 코이치 |
136 |
전망 |
고분자재료의 초미세성형기술과 그 구조발현 | 이토 히로시 |
137 |
다공막의 구조형성 메커니즘의 해명과 미세구조의 제어 | 마츠야마 히데토 |
141 |
고분자 발포 성형기술 ~ 발포 메커니즘과 그 응용 ~ | 키하라 신이치, 하루키 마사시, 타키시마 시게키 |
145 |
신장과정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도 | 야마다 토시로 |
149 |
반응 압출(리액티브 프로세싱)에 의한 다상구조의 제어 | 이노우에 타카시 |
153 |
고분자 용어 |
157
|
핫 토픽 |
레이저를 이용하여 금속에 플라스틱을 접합하는 기술 | 카타야마 세지 |
158
|
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한 나노입자의 표면 수식을 위한 신기술 | 무라카미 요시히코 |
160
|
아임계수에 의한 FRP의 고부가가치화 재활용 기술 | 나카가와 타카하루 |
162
|
고분자과학의 최신 진보 |
π-stacked 고분자 | 나카노 타마키 |
164
|
공지 사항 |
171
|
Top of the Page▲ |
Copyright(C) 2010 The Society of Polymer Science, Japan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