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자 Vol.58 No.12 |
>> Japanese | >> English | >> Chinese |
특집
피부와 고분자 |
피부는 체내와 외부를 구분하고 있는 계면으로써, 피부에는 피부의 보호 및 치유기능과 관련된 고분자가 상시 존재하여 피부의 기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피부와 관련된 고분자 및 피부에 접촉하는 고분자는 외부 환경에의 적응성과 다기능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특집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개발된「피부에 접촉하는 고분자재료・고분자 복합재료」에 초점을 맞춰, 일상생활 및 특수한
환경에서 이용되고 있는 고분자에 대해서 소개한다.
(타케우치, 아키요시, 이토, 우에노, 우츠노미야, 토미타)
|
특집에 부쳐 |
노화를 억제하는 스마트 고분자 | 시라이 히로후사 |
889
|
최신 연구결과 |
892
|
성장하는 고분자 |
다양한 기회를 통해 지탱되어 온 연구인생 | 카네코 요시로 |
895 |
제품개발의 매력 | 와타나베 마리코 |
896 |
전망 |
인공 피부 | 쿠로야나기 요시미츠 |
897
|
피부조직 재생을 위한 고분자 다공질 재료 | 첸 구오핑 |
901
|
욕창의 예방 압박과 마찰・어긋남의 관리 | 스가마 준코 |
905
|
프탈로시아닌 염색 섬유의 알레르겐 분자에의 효과 | 야노 히로유키, 쿠사다 오사무, 쿠로다 시게루 |
909
|
토픽 |
고흡습성 아크릴레이트계 섬유 | 이시마루 소노코 |
913
|
생체적합성 폴리머 | 시마다 쿠니오 |
915
|
Astaxanthin 나노 유화물의 개발 | 타시로 토모코 |
917
|
제미니형 양친매성 화합물의 기능과 생체에의 응용 | 야마모토 마사시, 야마와키 유키오, 타무라 요시나가 |
919
|
주입 가능한 겔을 이용한 생체조직의 접착 | 타구치 테츠시 |
921
|
고분자과학의 최신 진보 |
광・전자선 경화 | 와시오 마사카즈, 아리미츠 코지 |
923
|
공지 사항 |
932
|
Top of the Page▲ |
Copyright(C) 2009 The Society of Polymer Science, Japan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