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자 Vol.59 No.5 |
>> Japanese | >> English | >> Chinese | >> Korean |
특집
고분자 포토닉스 |
포토닉스 분야에 있어서 고분자는 렌즈, 광섬유, 광학보상 필름 등 패시브형 디바이스로써는 성공적으로 응용되어왔으나, 액티브형의
디바이스로써 응용되는 경우는 드물었다. 그러나 π 전자의 초고속 응답성 및 고분자의 우수한 성형가공성 등, 무기 결정에 비해 우월한
성능을 감안할 때, 광액티브 디바이스로써 고분자가 갖는 잠재가능성은 매우 크다. 더욱이, 합성, 구조, 물성 등에 있어서 고분자재료가
지닌 광범위한 다양성은 포토닉스 분야에 있어서도 장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최근 비선형 광학 등을 이용한 고분자 포토닉스
분야 연구의 진전으로 인해 고분자를 이용한 광액티브 디바이스의 실현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본 특집에서는 고분자재료의 광액티브
디바이스로써의 응용을 위한 돌파구가 된, 또는 그 기반이 된 최근의 연구성과를 소개한다.
(Editors:키쿠치, 우에노, 다니구치, Vacha, 히구치)
|
특집에 부쳐 |
광기능성 고분자 르네상스 | 카이노 토시쿠니 |
305
|
최신 연구결과 |
308
|
성장하는 고분자 |
복합유체의 응용가능성 | 이소지마 타츠시 |
311 |
행운을 잡아라! | 타케우치 다이스케 |
312 |
전망 |
초고속 광변조를 위한 전기광학 폴리머의 개발 | 요코야마 시요시, 피아오 시엔칭, 오토모 아키라 |
313 |
전기광학 고분자 변조기 | 에나미 야스후미 |
317 |
나노구조 제어재료의 포토닉스 디바이스로의 전개 | 와타나베 토시유키 |
321 |
차량 탑재 광네트워크의 발전 현황과 고분자 광디바이스의 응용 | 카가미 마나부 |
325 |
고분자 용어 |
329
|
토픽 |
Photo-Addressing Method에 의한 장척 및 파인 피치 광도파로의 제작 | 후지와라 마코토 |
330
|
포토리프랙티브 재료 | 사사키 타케오 |
332
|
고분자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한 포토닉결정의 제조 | 오카모토 시게루 |
334
|
플렉시블 전자・광집적 디바이스 | 오오모리 유타카 |
336
|
고분자재료를 이용한 콜로이드 포토닉 결정 레이저 | 후루미 세이치 |
338
|
고분자과학의 최전선 |
기능성 나노섬유의 신전개 | 카와카미 히로요시 |
340
|
공지 사항 |
347
|
Top of the Page▲ |
Copyright(C) 2010 The Society of Polymer Science, Japan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