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자 Vol.59 No.7 |
>> Japanese | >> English | >> Chinese | >> Korean |
특집
연성물질의 새로운 흐름 |
고분자, 액정, 분자막, 겔, 콜로이드 등은 연성물질로서 불리며, 구성요소가 크고 복잡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물성에
엔트로피가 크게 기여한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본 특집호에서는 연성물질의 물성 연구의 새로운 흐름으로써, 고분자와 연성물질의
복합계 및 계면에 대해서 소개한다. 고분자가 갖는 특징 중의 하나로써, 리본형의 독특한 형태와 그 형태가 끊임없이 변하고 있다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그와 같은 고분자의 특징을 액정 및 분자막과 같은 연성물질과 조합하였을 때 발현하는 새로운 물성들이 최근
보고되어 왔다. 본 특집에서는 이와 같은 연성물질과 관련된 최근의 화제들을 소개한다. 또한, 겔에 관해서는 9월호에서 특집으로
다룰 예정이다.
(Editors: 이토, 아키요시, 기쿠치, 다케자와, 바챠)
|
특집에 부쳐 |
복합계로써의 연성물질 | 오타 타카오 |
457
|
최신 연구결과 |
460
|
성장하는 고분자 |
성장하는 올리고머 | 가와우치 타케히로 |
463 |
기술의 핵심과 고객의 시점 | 미야우치 신스케 |
464 |
전망 |
액정과 고분자 | 기쿠치 히로츠구, 가네코 코스케, 히구치 히로키 |
465 |
분자막-고분자 복합계의 기하학적 모델 | 이마이 마사유키 |
469 |
폴리에칠렌 글리콜에 의한 단백질의 결정화 | 다나카 신페이 |
473 |
이온성 양친매성 고분자의 특성 및 자기조직화 | 마츠오카 히데키 |
477 |
고분자 용어 |
481
|
토픽 |
다이결합 필름 | 이나다 테이치 |
482
|
초절전형 전력구동기술을 이용한 무편광판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 미야타 아키오 |
484
|
고분자와 액정계의 상분리 | 마츠야마 아키히코 |
486
|
복합 이분자막 라멜라상의Shear-Induced Onion의 형성 제어 | 후지이 슈지 |
488
|
고분자에 의한 비평형상태의 고갈효과 | 사노 마사키 |
490
|
고분자과학의 최전선 |
고분자신장 결정화에 의한 고성능화 | 오카다 키요카, 히코사카 마사미치 |
492
|
공지 사항 |
499
|
Top of the Page▲ |
Copyright(C) 2010 The Society of Polymer Science, Japan All Rights Reserved. |